장사나 사업이나 비즈니스를 할 때에, 사소한 일은 없습니다. 작은 일이 큰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는 게 세상사이고, 비즈니스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SK 같은 회사에서는 작은 일 하나도 꼼꼼하게 챙길줄 아는 직원들을 좋아하는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 회사는 예전부터 <야무진 일처리>를 잘 하는 사람들을 좋아했었지요. 

 이제 재미있는 사례를 하나 볼까요? 아예 얘기 하나를 적당한 책에서 인용하는 것도 좋겠지요. 아는 사람은 알고 모르는 사람은 모르겠지만, 저는 아래의 내용을 잘 몰랐기에 이처럼 소개를 합니다. 설사 제가 알았다고 해도, 두고 두고 씹어볼만한 우화 같은 얘기 입니다.

 자, 그러면 이 책(사자도 굶어 죽는다, 저자 서광원, 위즈덤하우스, 02-704-3861) 내용 중 이야기 한 토막을 인용 합니다. 이야기를 풀어내는 저자의 글 솜씨가 돋보입니다.

 <<<1989년 11월 9일 독일민주공화국(동독)의 군터 샤보스키 신임 공산당 대변인은 TV인터부를 하다가 기자들로부터 대본에 없는 질문을 받았다. 그는 새로 바뀐 여행법을 발표하던 중이었다.
 
 기자들이 물었다. “동독인들은 언제쯤에나 자유롭게 서유럽으로 여행할 수 있을까요?”
 그러자 샤보스키가 퉁명스럽게 대답했다.“그들(동독사람들)은 원하는 곳이면 아무데나 갈 것이고, 아무도 그들을 막지 않을 겁니다.”
 
 기자들이 다시 물었다.“그럼 그 법은 언제부터 발효됩니까?”
 사실 샤보스키는 이 법안 내용을 잘 몰랐다. 서류를 뒤적이던 그는 또 퉁명스럽게 말했다.“지금 이 시간부터.”
 
 그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TV를 시청하던 수천명이 당장 TV 앞을 떠났다.그리고 국경으로 달려갔다. 공산당을 대변하는 대변인이 ‘그들(동독사람들)이 원하는 곳이면 아무데나 갈 수 있고, 아무도 막지 않을 것’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국경수비대는 수천명의 동독인들이 몰려 오자, 기세에 눌려 그들을 막지 못했다.동독인들은 마치 둑이 터진 것처럼, 국경을 넘었고, 그런 시작된 혼란 때문에,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다.
 
 무심코 한 말이 동서 냉전의 상징인 베를린 장벽을 무너뜨리는 도화선이 될 줄은 그 누구도 몰랐다.
 
 나중에 알려진 바로는, 새로운 여행법은 발표 다음날부터 발효될 예정이었다. 여행 규제도 완화된 것이지 없어진 게 아니었다. 하지만 내용을 잘 몰랐던 샤보스키는 얼버무리듯 답변했고, 시청자들은 여행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이해했던 것이다.
 
 작다고 작은 게 아니다. 시소의 균형은 불과 1그램 차이로 한쪽으로 기울어진다. 모든 중요한 일은 작은 것에서 시작된다. 그렇다고 작고 사소한 모든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여기에서 ‘작고 사소한’ 것은 작지만 핵심이나 본질에 관련된 것이다. 대개 난도(체조 같은 경기를 할 때에 선수가 구사하는 기술의 어려운 정도를 가리킴, 難度)가 높아질수록 사소함도 중요해진다. 같은 실수라도 직원이 한 것과 임원이나 CEO가 한 것은, 차원이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직원의 난도와 임원의 난도,  CEO의 난도가 모두 다 다르기 때문이다.>>>
 
 재미있지 않으세요. 저는 이 글을 보고, 말도 함부로 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퍼뜩 들더군요.

 유상원 중앙일보 이코노미스트 기자, wiseman@joongang.co.kr

이 글은 사람™이(가) 썼어요.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내는 것만큼 어렵고 힘든 일은 없다.
왜냐하면 현재의 제도와 시스템으로 혜택을 보고 있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엄청난 저항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 개혁을 도와줄 사람들은
새로운 질서가 가져다줄 혜택에 대한 모호한 그림밖에는 없다.
강력한 적과 미온적인 동지,
이것이 혁신이 성공하기 어려운 근본적인 이유이다.

- 마키아벨리, ‘군주론’에서

놀라운 통찰력입니다.
기득권자들이 버려야할 기득권은 명확하게 보이는 반면,
새로운 개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은 불확실하기 때문에
모든 개혁에는 반드시 저항이 따릅니다.
저항극복에 대해 미리 구체적인 방법을 설계하지 않고 시작하는 혁신은
대부분 실패하게 되어 있습니다.
혁신 성공 후 얻어지는 열매를 가시적으로 제시하는 것도
혁신추진자들의 몫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이 글은 사람™이(가) 썼어요.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MBA 과정에서 우수 기업 CEO를 대상으로
“당신이 성공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무엇인가?”라고
질문한 적이 있었다.
그러자 놀랍게도 93%가 능력, 기회, 운(運)등이 아닌
‘매너’를 꼽았다.

- 정진홍 중앙일보 논설위원 저,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에서

리더십은 마음을 사는 것입니다.
좋은 매너는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입니다.
프랑스에서는 매너를
‘삶을 멋지고 성공적으로 영위할 줄 아는 방법’
이라고 정의한다고 합니다.

또한 매너는 배려입니다.
역지사지(易地思之)로 입장 바꿔 생각할줄 아는 것이야 말로
매너의 기본입니다.
이 글은 사람™이(가) 썼어요.
단순한 것을 복잡하게 말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받아야 하지만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말하기 위해서는
현명해야 한다.

- 찰스 촙(Charles Tschopp, 스위스 작가)

혹시 메이어의 법칙(Meyer's Law)을 들어보셨습니까?
‘일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간단한 일이지만,
간단하게 만드는 것은 복잡한 일이다.’라는 것이
바로 메이어의 법칙입니다.

아직도 복잡하게 꾸미는 것이
일을 제대로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지식과 정보가 난무하는 오늘날에는
복잡하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이미 경쟁력을 잃었다 할 수 있습니다.


나의 모토이기도 하지...
이 글은 사람™이(가) 썼어요.
독일의 한 심리학자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배운 것을 실행에 옮기지 않는 사람은 무려 95%나 되며,
그 때문에 성공할 확률이 5%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배운 후에 그대로 방치해 두면 기억은 1시간 만에 56%,
하루가 지나면 74%를 망각한다는 데이터 결과도 나와 있다.
그 방지책은 끊임없는 반복과 꾸준한 실천뿐이다.

-‘산타영업, 도둑 영업’에서 사토 야스유키

실제로 성공의 원리가 그렇게 어렵거나 멀리 있지 않습니다.
문제는 그것을 끈기 있게 실행으로 옮기느냐 여부입니다.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정성을 담아 10년간 꾸준히 하면
큰 힘이 된다.
20년을 하면 두려울 만큼 거대한 힘이 되고,
30년을 하면 역사가 된다’는 중국속담을 되새겨봅니다.
이 글은 사람™이(가) 썼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