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의 기대를 넘어서라. 만약 그렇게 할 수만 있다면 고객들은 계속해서 다시 올 것이다.

고객이 원하는 것을 주라. 가능하면 그 이상을 주도록 하라.

당신이 고객에게 감사하고 있다는 사실을 그들에게 알게 하라.

당신의 잘못에 대해서는 무조건 보상하라. 변명하려 들지 말고 사과하라. (370p)

 

샘 월튼 지음, 김미옥 옮김 '샘 월튼 불황없는 소비를 창조하라 - 시골 잡화점을 세계 최대 기업으로 키워 낸 월마트 창업주' 중에서 (21세기북스(북이십일))


샘 월튼: 불황없는 소비를 창조하라
카테고리 경제/경영
지은이 샘 월튼 (21세기북스, 2008년)
상세보기


1945년 미국 아칸소 주 뉴포트에서 잡화점을 시작해 세계 최대의 유통기업 월마트를 만들어낸 샘 월튼.

그는 자신의 성공원칙 10가지를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1.자신의 사업에 전념하라.

2.이익을 모든 동료들과 공유하고 그들을 동반자로 대우하라.

3.당신의 동반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라.

4.가능한 한 모든 정보를 당신의 동반자들에게 전달하라.

5.동료들이 당신의 사업을 위해 하는 모든 일에 감사하라.

6.성공을 자축하라.

7.모든 사원들의 말에 귀를 기울여라.

8.고객의 기대를 넘어서라.

9.비용을 경쟁자보다 낮게 통제하라.

10.흐름을 거슬러 올라가라.

 

이 세계 최대 유통업체인 월마트가 최근 온라인 쇼핑몰 월마트닷컴을 시작했습니다. 오프라인 유통의 최강자가 아마존과 이베이에 도전장을 낸 것입니다.
기존의 온라인 유통업체들과 제휴, 가정용품, 스포츠용품, 의류, 장난감 등 100만개의 상품을 취급한다고 합니다.

 

월마트의 온라인 시장 진출은 오프라인 부문의 정체에 따른 신성장 전략의 채택입니다. 자신이 정복하지 못한 핵심 영역인 온라인 부문에 진입해 온오프 모두를 석권하겠다는 계획일 겁니다.

 

사실 후발주자가 온라인 유통에 진출해 성공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국내외적으로 실패 사례가 많지요. 하지만 샘 월튼이 1962년 아칸소 주 로저스에 월마트 1호점을 냈을 때도 그의 성공을 점치는 사람들은 거의 없었습니다. 당시 그가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 "인구 5만명 이하의 소도시에서는 할인점이 오랫동안 버틸 수 없다"는 이야기였지요.

 

월마트의 온라인 진출 소식을 들으면서 '고객'을 생각했습니다. 월마트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샘 월튼이 그렇게 강조했던 '고객'에 있을 겁니다.

그의 말처럼, 온라인에서도 월마트가 고객의 기대를 넘어서고, 고객이 원하는 것 그 이상을 주고, 고객에게 감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한다면, 월마트닷컴은 아마존이나 이베이를 위협할 수도 있을 겁니다.

이 글은 사람™이(가) 썼어요.
3의물결(고전으로 미래를001)
카테고리 경제/경영
지은이 앨빈 토플러 (홍신문화사, 2006년)
상세보기



이 책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듯...
소장한 양장본이 있었는데 잃어버려서 또 샀다 ㅠㅠ
이 글은 사람™이(가) 썼어요.
혈액형에 관한 간단한 고찰
카테고리 만화
지은이 박동선 (소담출판사, 2009년)
상세보기



그냥 재미로 사본 책.
읽으면서 주변 사람들을 돌아보게 되는데...
생각해보니 내 주변에 AB형이 없네... 내가 모르고 있는걸수도...

카툰 작가는 한정된 지면안에 여러가지 이야기를 담아야하는데
이 작가는 사람들의 공감을 조그마한 페이지안에 잘 담아낸것 같다.

이 글은 사람™이(가) 썼어요.
15조원의 육체산업
카테고리 정치/사회
지은이 이노우에 세쓰코 (씨네21, 2009년)
상세보기



자극적인 제목이라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을듯한 책.

AV산업속의 여성 인권 문제를 작가 나름의 방식대로 서술하였으며 AV산업을 이끌어가는 남성들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반박하고 있다.
이 글은 사람™이(가) 썼어요.
꼬리가 개를 흔든다
카테고리 자기계발
지은이 유석호 (중앙북스, 2008년)
상세보기



난... (주)쇼테크의 소액주주다...
그래도 주주라고... 이런책을 보내주더군... 언제 받았는지 기억은 안난다...

쇼테크의 히스토리에 대표의 생각을 끼워맞춘듯한 느낌을 많이 받았지만 대부분의 자기계발에 관련된 책이 그렇듯 나쁜 이야기는 없는 그런 책이었다...


이 글은 사람™이(가) 썼어요.